728x90 Psychological effect,32 심리학에서 말하는 부메랑효과(광고,정치,건강)란 무엇인가? 심리학에서는 우리가 매일 마주치는 광고, 정치, 건강관련 커뮤니케이션에서 발생하는 영향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합니다. 이러한 연구 중에서 부메랑효과는 소비자나 대중들이 받는 영향력이 오히려 그들의 반발심을 자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부메랑효과가 무엇인지,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리고 다양한 분야에서의 영향을 다루어 보겠습니다. 부메랑효과란? 부메랑효과는 다른 사람을 설득하려는 의도로 발화된 메시지가 오히려 반대효과를 가져와서 설득을 실패하게 만드는 심리적 현상입니다. 다시 말해, 원하는 결과와는 정반대의 결과가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대부분 반발 심리에 기인합니다. 부메랑효과의 작용원리는? 부메랑효과는 설득을 시도하는 사람이 대상자의 반발심을 자극하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대.. 2023. 3. 7. 깨진유리창 이론, 도박사의 오류, 밴드웨건효과 - 깨진유리창 이론 일상생활에서 경범죄가 발생했을 때 제때 처벌하지 않으면 결국 강 력 범죄로 발전할 수 있음을 경고하는 이론이다. 타인에게 관심을 두지 않는 익명성이 만연한 사회에서는 반사회적이고 이기적인 행위가 창궐 할 수 있다는 것이다. 1969년 스탠퍼드 대학 심리학 교수였던 필립 짐바르도Philip Zimbardo 는 유리창이 깨지고 번호판도 없는 자동차를 뉴욕의 브롱크스 거리에 방치하고 사람들의 행동을 살펴보았다 . 사람들은 배터리나 타이어 같은 부 품을 훔쳐 가고 더 이상 훔쳐 갈 것이 없자 자동차를 부수어 버렸 다. 자동차의 깨진 유리창 하나를 방치하자 점차 범죄가 확산된 것이다. 1982년 미국의 범죄학자 조지 켈링 George Kelling 과 정치학자 제임스 윌슨 James Wilso.. 2022. 8. 16. 그레셤의 법칙,노출증,바넘효과,부메랑효과 -그레셤의 법칙 가치가 낮은 무언가가 그보다 가치가 높은 것을 몰아내고 밀어내는 현상이다 가치가 다른 금과 은이 동일한 가치로 판단이 되면 사람들은 금은 본인만 아는 곳에 소장해두고 대신 은을 현금화시켜 사용하게 된다 16세기 영국의 금융가인 토머스 그레셤이 엘리자베스 1세에게 보낸 편지에서 유래된다 영국의 왕 헨리 8세는 화폐의 물리적 가치를 낮춤으로써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었다 은 함량을 줄인 은화를 발행하고 남은 은에서 얻은 이익을 재정에 보태는 방식이었다 사람들은 순은은 집에 쌓아둔 채 은 함량이 낮은 화폐만을 사용했고 헨리 8세가 사망한 이후 그레셤은 엘리자베스 1세에게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는 편지를 써 그 현상을 설명했다 하지만 엘리자베스도 그 현상을 막아내지 못하였다 우리나라 조선 후기.. 2022. 7. 22. 귀인이론, 방관자효과, 보이지 않는 고릴라 -귀인 이론 자신이나 타인의 행동이 발생한 원인을 추리하는 이론이다 원래 귀인이란 뜻은 어떠한 행동의 원인을 어디에다 귀속시킨다는 뜻이다 우울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본인이 실패를 경험할 때 다른 이유보다 자기 자신의 성격에 원인을 두는 오류를 보인다고 한다 호주의 심리학자는 1958년 대인관계의 심리학에서 제시한 개념으로 사람들이 어떠한 일이 발생할 때 그 원인을 분석하는 패턴이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이것을 귀인 이론이라 지칭하고 성격적 귀인 상황적 귀인으로 분류했다 성격적 귀인의 경우 행동의 원인을 개인의 성격 동기 태도에서 찾는 것이고 상황적 귀인의 경우 원인을 사회규범 외부 환경 갑작스러운 기회 등에서 찾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시험 준비에 바쁜 연인이 당신에게 일방적 이별을 통보했다 어떤 반응이 .. 2022. 7. 12. 이전 1 ···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