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인 이론
자신이나 타인의 행동이 발생한 원인을 추리하는 이론이다
원래 귀인이란 뜻은 어떠한 행동의 원인을 어디에다 귀속시킨다는 뜻이다
우울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본인이 실패를 경험할 때 다른 이유보다
자기 자신의 성격에 원인을 두는 오류를 보인다고 한다
호주의 심리학자는 1958년 대인관계의 심리학에서 제시한 개념으로
사람들이 어떠한 일이 발생할 때 그 원인을 분석하는 패턴이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이것을 귀인 이론이라 지칭하고 성격적 귀인 상황적 귀인으로 분류했다
성격적 귀인의 경우 행동의 원인을 개인의 성격 동기 태도에서 찾는 것이고
상황적 귀인의 경우 원인을 사회규범 외부 환경 갑작스러운 기회 등에서 찾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시험 준비에 바쁜 연인이 당신에게 일방적 이별을 통보했다
어떤 반응이 나올 것인가?
상황적 귀인은 시험에 합격하지 못한 것 시험 준비로 인해 만남이 소홀해진 것으로
이해할 것이고
성격적 귀인은 시험에 대한 압박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이해할 것이다
내부요인을 과대평가하고 외부요인을 과소평가하는 것을
기본적 귀인 오류라고 하는데
사회심리학자들은 외부요인을 과소평가하는 상황적 귀인보다
내부요인을 과대평가하는 성격적 귀인의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질문자 도전자 게임관찰자를 대상으로 한 사회심리학자 로스의 실험에서
기본적 귀인 오류 실험을 살펴보자
먼저 질문자들이 문제를 만들어 도전자들에게 질문하도록 했다
도전자들은 질문에 계속된 오답을 이야기하였고
그 모든 과정을 관찰자들은 지켜보았다
문답이 종료된 후
질문자 도전자 관찰자들은 질문자와 도전자의 지식수준을 평가했다
질문자들은 도전자 집단과 본인의 집단의 지식수준이 비슷하다고 이야기했고
도전자들과 관찰자들은 질문자의 지식수준이 본인들보다 더 높다고 이야기했다
도전자와 관찰자들은 상황적 요소보다 성격적 요소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
원래 실험 자체가 질문자에게 유리했다는 점보다 도전자가 자주 틀릴 정도의 문제를 출제한
질문자의 명석함을 높게 평가한 것이다
이것이 바로 기본적 귀인 오류에 해당한다
-방관자 효과
주변에 사람이 많으면 많을수록 책임 분산되어
오히려 위험에 처한 사람을 돕지 못하게 되는 현상이다
구경꾼 효과라고도 한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어떤 행동을 해야 할지 불확실한 상황에서
주변인들의 행동을 보고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
결국 이러한 경향으로 인해 서로 눈치만 보고 생각만 하다가
방관으로 끝나는 확률이 아주 높다
1964년 3월 13일 퇴근 후 귀가 중인 여성 제노비스가 강도에게 칼에 찔려
사망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은 2주 뒤 뉴욕타임스에 살인을 목격한 38명은 아무도 경찰에게 신고하지 않았다
라는 자극적인 제목의 기사를 올리면서
사람들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제노비스가 사고를 당하는 35분 동안
목격자들은 구호 조치도 구조의 손길도 보내지 않았다고 한다
하지만 이후 밝혀진 진실은
사람들은 38명이 아닌 12명이었고
사건 당시 계절이 겨울이라
창문을 닫고 있었고 밖에서 들리는 비명도
연인들의 다툼 정도라고 생각하고 무시했다고 한다
그런데 범인 윈스턴 모즐리가 처음 제노비스를 공격했을 때
분명 비명을 지른 사람도 경찰에 신고한 사람도 있었다고 한다
타임스의 보도 내용은 과장된 것이었다
하지만 과장된 허위 보도하고 해도
대부분의 목격자가 경찰에 신고하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제노비스는 눈에 띄기 어려운 사각지대로 들어갔고
비명에 달아났다가 다시 돌아온 범인에 의해 결국 살해 당한 것이다
1968년 사회 심리학자 존 달리와 밥 라테인은 대화 도중
어떠한 학생이 간질 발작을 일으키는 실험을 시작했다
1 대 1로 대화를 나누던 학생의 85퍼센트는 즉시 이 사실을 알렸고
네 명이 대화하던 집단은 62퍼센트가
일곱명 집단은 31퍼센트만이 발작 사실을 알렸다고 한다
이에 대해
학생들은 발작 상황을 알려야 되는지 잘 몰랐고
자기 대신에 누군가가 할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존 달리와 밥 라테인은 이 어중간한 상황에서 서로에게 책임을 미루는 것을
방관자 효과가 일어나는 원인으로 제시하며
이를 책임 전가 또는 책임 분산이라고 했다
문제는 이러한 현상이 타인의 고통이나 위험에 무감각하고 이기적인 이들에게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모든 평범한 사람들에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긴급상황이나 위급한 상황에서 머뭇거리는 주변인들의 도움을 얻기 위해서는
그들에게 책임감을 부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검은 모자를 쓰고 있는 사람
노란 가방을 가지고 있는 사람 등
구체적이고 확실하게 지목하는 것이 좋다
그렇게 해야
요청을 받은 사람도 자신이 도움을 줘야 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방관자에게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움직이려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교육을 받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훨씬 더 수월하게 타인을 도와줄 수 있다
누군가가 지켜보고 있을 때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행동하거나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감시자 효과라고 하는데
이는 방관자 효과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보통 정치인들이나 연예인들이 이런 유형에 속한다
-보이지 않는 고릴라
한 가지에 집중하면 명백히 존재하는 다른 것을 보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영화나 드라마의 옥에 티도 보이지 않는 고릴라 현상이다
영화 대부에서는 극 중 등장인물 소니의 차가 총을 맞아 벌집처럼 뚫려있었는데
다음 장면에서는 멀쩡한 차로 바뀌어있다
그러나 관객들은 전혀 알아차리지 못한다
이렇게 눈이 특정한 사물을 향하고 있지만 다른 것을 신경 쓰느라 인식하지 못하는 것을
주의력 착각이라고 한다
'Psychological eff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깨진유리창 이론, 도박사의 오류, 밴드웨건효과 (1) | 2022.08.16 |
---|---|
그레셤의 법칙,노출증,바넘효과,부메랑효과 (0) | 2022.07.22 |
노시보 효과, 뮌하우젠 증후군, 보보인형 실험 (0) | 2022.07.10 |
공유지의 비극, 무드셀라 증후군, 호손효과 (0) | 2022.07.10 |
고슴도치 딜레마 , 히스테리 , 후광효과 (0) | 2022.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