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셤의 법칙
가치가 낮은 무언가가 그보다 가치가 높은 것을 몰아내고 밀어내는 현상이다
가치가 다른 금과 은이 동일한 가치로 판단이 되면
사람들은 금은 본인만 아는 곳에 소장해두고 대신 은을 현금화시켜 사용하게 된다
16세기 영국의 금융가인 토머스 그레셤이 엘리자베스 1세에게 보낸 편지에서 유래된다
영국의 왕 헨리 8세는 화폐의 물리적 가치를 낮춤으로써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었다
은 함량을 줄인 은화를 발행하고
남은 은에서 얻은 이익을 재정에 보태는 방식이었다
사람들은 순은은 집에 쌓아둔 채 은 함량이 낮은 화폐만을 사용했고
헨리 8세가 사망한 이후 그레셤은 엘리자베스 1세에게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는 편지를 써
그 현상을 설명했다
하지만 엘리자베스도 그 현상을 막아내지 못하였다
우리나라 조선 후기에도 비슷한 일이 있었다
흥선대원군이 발행한 당백전이 그런 현상이 있었는데
조선 후기에 화폐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보이자 당백전을 유통했는데
그런데 당백전의 가치는 기존 화폐인 상평통보의 100배였으나
실질적인 가치는 5배 정도에 불과했다
이렇다 보니 백성들 사이에서
상평통보는 양화 당백전은 악화로 자리매김했고
백성들은 상평통보는 집에 감춰두고 당백전만 사용하여
악화가 양화를 몰아내는 현상이 발생했고
결국 화폐가치는 하락했고 극심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여
조선 왕조에 큰 타격을 입혔다
일상에서 흔히 보이는 예가
새 돈은 사용하지 않고 헌 돈만 사용하게 되는 현상이
일상에서 볼 수 있는 그레셤의 법칙이다
-노출증
단어 그대로다 성적 도착증의 일종으로
반복적으로 낯선 사람 앞에서 자기 성기 가슴 엉덩이 등을
드러내 성적흥분을 느끼는 현상이다
노출증은 프랑싀 정신과 의사인 샤를 라세즈가 1877년 정신장애의 일종으로 처음 언급했다
노출증이 정신장애 진단을 받으려면 상대방의 동의 없이 본인의 성적 만족도를 위해
신체를 노출하는 행동과 그로 인해 정상적인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가 돼야
정신병으로 진단이 내려진다
주로 남자가 여자에게 노출하는 경우가 많고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노출증 환자가 이에 속한다
의외로 노출증 환자의 성기노출증은
거세 공포증이 그 원인이 있다
남성의 노출증은 주로 성기에 집중되는 반면에
의외로 여성의 노출증은
성기를 비롯해 가슴 엉덩이 등 다양한 부위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렇든 저렇든 노출증은 경범죄로
위법한 행동이다. 그러니 정신 차리고 살아야 한다
-바넘 효과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일반적 성격 특성을 자신의 성격과 일치하다고 믿는 현상이다
바넘은 19세기 미국의 곡예단에서 사람의 성격을 맞추는 일을하는 사람이였다
바넘효과라는 말은 그의 이름에서 유래되며 그 용어는 미국의 심리학자 밀이 1956년에
처음으로 사용했다
바넘효과는 또다른 말로 포러 효과라고도 불리는데
포러가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성격 검사 실험에서 바넘현상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모두에게 동일한 성격 검사 결과지를 나누어주고 각자 얼마나 자신의 성격과 비슷하고 일치하는지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대다수에 실험참가자들은 검사 결과가 자신과 성격을 너무 동일하다고 이야기했다
하지만 포러의 성격 검사 실험 결과를 보면 8할이상의 사람들이 검사결과가 자신의 성격과 일치하다고 이야기했다
실험 참가자 모두가 동일한 성격검사를 받았는데도 말이다
바넘효과는 어떠한 사전 정보도 없이
상대방의 성격이나 심리를 읽을수있다고 믿게 만드는 콜드 리딩이란 기술과 연관지어 생각해볼수도있다
사주나 타로카드 등이 같은 원리이다
그리고 그러한 포괄적인 어떤 부분들이 모든사람들이 가지고있는 부분이라
누구한테나 들어맞을수있다는 것을 명심해야한다
-부메랑 효과
어떤한 행동이 행동을한 행위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좋지않은 결과로 다시 되돌아 오는 현상이다
호주의 원주민 아보리진은 유럽인들이 이주하기전 호주 본토 원주민들을 말한다
그들은 사냥을 하거나 다른부족과 전투를 벌일때 주로 부메랑을 사용하였는데
문제는 그 부메랑이 표적을 비켜나가면 오히려 자신이 공격을 당할수있었다
이러한 상황과 같이 처음의 의도와 다르게 오히려 본인에게 위험한 결과로 다가오는 상황을
부메랑 효과라고 한다
사회 심리학자 웨슬리 슐츠는 미국 한지역 가구들의 전력 소비량을 측정한후
정리한 자료를 각각의 가정에게 나눠줬다
자료는 해당 가정의 전력 소비량과 이웃들의 평균 소비량
그리고 전기를 줄이는 간단한 방법등을 소개했다
그리고 시간이 흘러 3주뒤
각 가정들의 소비량을 다시 측정해보니
평균보다 전기소비량이 높았던 가구들은 전기를 절약했고
평균보다 소비량이 낮았던 가구들은 오히려 전력을 더 소비한것으로 나타났다
전체가구의 평균 소비량을 낮추려 원 의도와는 다르게
오히려 전기를 절약하고있던 가구들에게
전기를 더 써도 된다는 정보를 준것이 되버린것이다
이러한 상황처럼
좋은의도로 시작한일이 오히려 해가되어 돌아오는것이
부메랑 효과의 핵심이란것이다
우리 일상에서도 흔히 일어나는일로
부모님들이 자녀들에게 공부나 학습을 강요하게되면
오히려 어느순간부터 자녀들은 부모님에 대한 반감이 생기게되고
공부나 학습적인 부분도 그 행동을 일부러 하지않게 되는일도
부메랑 효과의 한 예시이다
심리학 용어중에 저항의 심리학이라는것이있다
이것은 한사람이 강요를 통해 다른사람의 자유를 제한할수록
강요하는 사람이 원하는 방향으로 가지않으려는 부메랑 효과가 발생한다는것을 의미한다
인간관계에서도 나타나는 부메랑효과는
아무리 좋은의도라고 하더라도
너무 과하거나 도가 지나치면 역효과가 일어날수있다는걸 명심해야한다
'Psychological eff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에서 말하는 부메랑효과(광고,정치,건강)란 무엇인가? (0) | 2023.03.07 |
---|---|
깨진유리창 이론, 도박사의 오류, 밴드웨건효과 (1) | 2022.08.16 |
귀인이론, 방관자효과, 보이지 않는 고릴라 (0) | 2022.07.12 |
노시보 효과, 뮌하우젠 증후군, 보보인형 실험 (0) | 2022.07.10 |
공유지의 비극, 무드셀라 증후군, 호손효과 (0) | 2022.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