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Department of Real Estate8

주택시장분석 주택시장분석 주택시장분석에 대한 기초개념 주택소유자가 주택으로 인해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주택서비스라고 한다 주택유량과 주택저량이란 단기적으로 생산공급의 증가는 어렵기 때문에 저량의 개념으로 공급량은 분석하고 장기적으로 저량과 유량을 함께 이용하여 특정 지역의 주택시장 공급을 분석한다 주택의 수요와 소요 주택수요는 구매력이 있는 수요자가 시장원리에 맞게끔 주택을 구매하는 것이며 소요의 경우는 구매력이 없는 소득층을 위해 정부가 주택을 공급하는 것을 이야기한다 수요는 시장경제의 개념이고 소요의 경우는 사회복지 정책상의 개념이다 주택수요의 경우 시장경제에 방임함으로써 자연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게 되므로 경제적 기능이 강조되고 소요의 경우는 정부의 복지적 차원의 개입으로 정치적 기능이 강조된다 예를 들어 수요의.. 2022. 7. 2.
부동산경제론에 관하여 부동산경제론 부동산의 수요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자 일정 기간 동안 소비자가 재화와 서비스를 구매하려 하는 인간적인 욕구를 수요라고 정의한다 수요량은 일정 시점 동안 주어진 가격수준 안에서 소비자가 구입하고자 하는 최대수량을 이야기한다 수요곡선 일정 기간에 성립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가격수준과 수요량의 조합을 연결한 곡선을 이야기한다 수요법칙은 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감소하고, 가격이 내리면 수요가 증가하는 관계를 이야기한다 한사람 개개인의 수요를 개별수요라고 이야기하며 , 개별수요의 수평적인 합계를 시장수요라고 이야기한다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대체효과와 소득효과의 합을 가격효과라고 이야기한다 다른 조건이 일정분별일 때 한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대체효과는 언제나 구입량을 증가시킨다 부동산 경기변동 국민소득.. 2022. 6. 30.
부동산 용어 정리 및 토지의 특성 오늘은 부동산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에 대해 정리해보겠다 먼저 여러 용어 중 "부동산" 이 단어부터 알아보자 부동산 영어로는 real estate 토지와 그 정착물을 정의하는 단어이다 부동산의 종별과 유형으로는 지역적 종별과 개별적 종별로 나뉘는데 먼저 지역적 종별은 부동산이 속한 지역의 용도에 따른 구분이다 택지 지역 농지 지역 임지 지역으로 분류되며 택지 지역의 경우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으로 분류되고 농지 지역은 전지 지역 답지 지역 과수원 지역 임지 지역은 용재림 지역 신탄인 지역으로 세분된다 다음으로 개별적으로 종별은 지역 종별에 의하여 분류되는 구분인데 택지 농지 임지 세분류로 분류되며 택지는 주거지 상업지 공업지 농지는 전지 답지 임지는 그냥 임지로 정리된다 토지의 분류로는 먼저 건축물을.. 2022. 6. 29.
부동산학의 시작 및 정의 부동산학 총론,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부동산, 아파트 기타 등등 부동산을 알아가기 전에 먼저 부동산학이란 무엇인가 , 부동산학의 정의부터 알아야 할 것이다 , 부동산학이란 모든 부동산활동의 능률화 원리 및 그 외 응용 기술을 개척하는 종합적인 응용과학으로 볼 수 있다, 학문적 성격으로는 , 사회과학, 실천 과학, 경험과학, 규범과학으로 6가지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종합적인 학문으로 볼 수 있다, 부동산학은 무형적 측면과 유형적 측면으로 나뉘는데, 먼저 무형적 측면은 , 법률적 측면과 경제적 측면으로 나뉜다, 법률적 측면이란 부동산에 관계되는 모든 제도적인 측면을 말하며, 공법 여러 가지 규율 규칙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하며, 경제적 측면은, 단어 그대로, 부동산의 가격에 관련된 가치적 측면을 이야기.. 2022. 6.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