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증 인터넷 발급방법 A to Z (소요기간/비용)
아르바이트나 취업을 위해 필요한 서류 중 하나인 보건증! 검사 후 발급까지 소요되는 기간이 일주일 정도라 급하게 필요한 경우엔 조금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는데요. 오늘은 직접 방문하지 않고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발급받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더불어 비용과 소요 기간까지 정리해드릴 테니 참고해 주세요!
보건증 인터넷 발급 개요
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란 식품위생업소 및 위생분야 종사자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 결과를 기록한 문서를 말합니다. 이전에는 보건소를 직접 방문하여 수령하였으나, 현재는 인터넷을 통한 발급이 가능해졌습니다.
인터넷을 이용한 발급은 아래와 같은 절차를 따릅니다.
1. 공공보건포털 홈페이지(g-health.kr) 에 접속합니다.
2. 온라인 민원서비스 메뉴에서 제증명 발급을 선택합니다.
3.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동의 후 본인인증을 진행합니다. 이때 본인인증은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금융인증서 또는 간편인증을 통해 가능합니다.
4.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후 조회를 클릭합니다.
5. 내역조회 페이지에서 원하는 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를 선택한 후 출력합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인터넷을 통해 쉽게 보건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발급 소요 기간은 보건소마다 상이할 수 있으나 보통 검사일로부터 5일 이후이며, 비용은 300원입니다.
발급 절차의 시작 : 온라인 신청 준비사항
온라인으로 보건증을 발급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 준비 사항이 필요합니다. 아래는 온라인 신청 전 준비해야 할 사항들 입니다.
1.개인 공동인증서: 과거 공인인증서라 불리던 공동인증서는 은행업무나 정부기관 사이트 이용시 본인 인증을 위해 사용됩니다. 만약 개인 공동인증서가 없다면 거래은행을 방문하여 발급받아야 합니다.
2.출력 가능한 프린터: 인터넷으로 발급받은 보건증은 프린트를 통해 출력하여야 합니다. 그러므로 발급 전 출력 가능한 프린터가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3.신청 가능한 시간: 각 지자체의 보건소 별로 운영시간이 다를 수 있으므로 미리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는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주말 및 공휴일은 휴무입니다.
위 세 가지 준비 사항이 완료되었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온라인 보건증 발급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신청 플랫폼 선택과 접속 방법
준비가 완료되었다면 온라인으로 보건증을 발급받을 수 있는 플랫폼을 선택해야 합니다. 대표적인 플랫폼으로는 공공보건포털(G-health)이 있습니다.
공공보건포털을 통한 인터넷 발급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먼저 포털사이트에 '공공보건포털'을 검색 후 해당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2.사이트 상단의 메뉴중 제증명 발급을 클릭합니다.
3.제증명 발급 페이지에서 온라인 민원서비스 항목의 '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을 클릭합니다.
4.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를 체크한 후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후 공동인증서로 본인인증을 진행합니다.
5.본인 인증 이후 검사 받은 보건소를 선택하고, 보건증 종류를 다시 한번 확인한 뒤 아래쪽의 문서 조회 버튼을 클릭합니다.
필요 서류와 정보 입력하기
본인인증 절차까지 완료했다면 이제 필요한 서류와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
- 필요 서류 : 신분증 혹은 본인임을 증명할 수 있는 기타 서류
- 정보 입력 :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휴대폰 번호 등 개인정보와 보건증 종류, 검사 일자 등의 정보를 입력합니다. 이때, 이전에 검사받은 보건증 기록이 있다면 자동으로 조회됩니다.
입력한 정보가 정확한지 다시 한번 확인한 후 결제를 진행합니다. 일반적으로 보건증 인터넷 발급 비용은 300원이며, 카드나 계좌이체를 통해 결제할 수 있습니다. 결제가 완료되면 보건증 PDF 파일을 다운로드하거나 출력할 수 있습니다.
건강검진 예약과 진행 절차
먼저, 보건증을 발급받기 위해서는 건강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대부분의 보건소에서는 온라인으로 건강검진 예약을 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건강검진 예약과 진행 절차에 대한 안내입니다.
1.예약하기 : 보건소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을 통해 건강검진 날짜와 시간을 예약합니다. 일부 보건소에서는 전화나 방문 예약도 가능합니다. 예약 시에는 본인의 성별, 나이, 건강 상태 등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2.검진일에 보건소 방문하기: 예약한 날짜와 시간에 맞춰 보건소를 방문합니다. 보건소에서는 건강검진 신청서를 작성하고, 간단한 신체검사와 혈액검사, 소변검사 등을 실시합니다.
3.결과 대기: 검사 결과는 보통 1~3일 이내에 나옵니다. 하지만 주말이나 공휴일이 끼어 있으면 결과가 나오는 데 며칠 더 걸릴 수 있습니다.
4.보건증 발급: 검사 결과가 정상이면 보건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보건증은 보통 종이 형태로 발급되며, 유효기간은 1년입니다. 만약 검사 결과가 비정상이면 추가 검사나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검진 결과 제출과 보건증 발급 신청 완료
인터넷으로 보건증을 발급받기 위해서는 검진 결과가 나온 후에 보건소 홈페이지에서 보건증 발급 신청을 해야 합니다. 이때 공인인증서 또는 본인 명의 휴대폰 인증이 필요하며, 각 보건소마다 요구하는 서류 및 조건이 다를 수 있으니 반드시 해당 보건소의 안내사항을 확인해야 합니다.
발급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1.보건소 홈페이지 접속: 검색 엔진에 '보건소'라고 입력해서 공식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 이후 상단 메뉴에서 '온라인 민원 서비스'를 클릭합니다.
2.개인정보 입력: 이름, 주민등록번호, 휴대폰 번호 등 개인정보를 입력합니다. 그다음 약관에 동의하고 로그인합니다.
3.검진 결과 조회: 이전에 받은 건강검진 결과를 조회합니다. 화면에 나타난 정보를 확인하고 이상이 없으면 하단에 있는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4.보건증 발급 신청: 이제 보건증 발급 신청서를 작성합니다. 이름, 생년월일, 주소 등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보건증 종류와 수량을 선택합니다. 마지막으로 결제를 하면 신청이 완료됩니다.
5.출력하기: 잠시 후 이메일 혹은 문자로 발급 링크가 오면 해당 링크를 클릭하여 인쇄하거나 PDF 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간단하게 집에서도 보건증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소요 기간과 발급 비용 안내
보건증 인터넷 발급 소요 기간은 검사 후 약 5일 정도이며, 주말 및 공휴일은 제외됩니다. 하지만 지역 보건소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검사 전에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발급 비용은 일반적으로 3,000원 - 5,000원 사이 입니다. 단, 지자체별로 지원금이 있거나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는 경우도 있으니 사전에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직접 보건소를 방문하여 수령한다면 비용이 들지 않거나 더 저렴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대기 시간이 길거나 예약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가능하다면 인터넷 발급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인터넷으로 발급받은 보건증 수령 및 유효기간 확인
공공보건포털(g-health.kr) 에서 본인 인증 절차를 거친 뒤 '온라인 제증명 발급 신청하기' 를 클릭하시면 인쇄하실 수 있습니다. 이때 프린터 연결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컴퓨터에 프린터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PDF 파일로 저장하여 외부에서 출력할 수도 있습니다.
한편, 보건증의 유효기간은 검사일로부터 1년입니다. 만료되기 전에 갱신해야 하며, 유효기간이 지난 경우에는 다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 검사 날짜를 기억해 두거나, 공공보건포털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과 소요 기간, 비용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간단한 절차이니 필요하신 분들은 미루지 마시고 바로 진행해 보세요! 건강한 일상 보내시길 바라며 이만 마무리하겠습니다.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긋지긋한 여드름, 흉터없이 제거하는 여드름 치료법 알아보기 !!! (0) | 2024.11.23 |
---|---|
암호화폐 거래소 전격 비교 분석! 업비트 vs 빗썸 vs 코인원 장단점 파헤치기 (0) | 2024.11.22 |
헷갈리는 만나이 계산법! 정확하게 알아보자 !! (0) | 2024.11.22 |
성가신 딸꾹질, 쉽게 멈추는 7가지 방법 !!!! (0) | 2024.11.22 |
도어스테핑이란? 역대 대통령들의 언론소통 방식 비교 분석 (0) | 2024.11.21 |